
 |
IV system using CUDA Click |
“우리는 병렬 컴퓨팅을 위한 다양한 개발 환경을 비교했습니다.” CUDA 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연구자인 Herlambang은 “우리가 CUDA를 선택한 것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던 C 언어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차세대의 GPU들을 통해 앞으로도 우리가 개발해 둔 시스템에 대한 개편 없이 단지 GPU를 바꾸는 것만으로 속도 향상을 이룰 수 있으리라는 점도 큰 선택 요소였습니다. 대용량의 CUDA 프로그램을 더욱 쉽게 디버그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면, CUDA는 병렬 컴퓨팅을 위한 더욱 강력한 개발 환경이 될 것이고, 많은 연구자들이 의학용 이미지 프로세싱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라고 말한다.
CT와 MRI에서 만들어진 이미지들은 실시간으로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으며, 의사들은 질병에 의한 생체의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이나 생체 검사 없이도 진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몇 명의 의사들이 다른 의사들과 함께 영상을 함께 보고 토론을 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몇 명의 의사들이 내시경 수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 수술을 실시간으로 참관하면서 한 사람이 수술을 집도하고 다른 의사들이 수술 기술에 대해 부분적으로 관여하는 것도 가능할 지도 모른다.
巨大な大型並列コンピュータアレイを治療の現場に持ち込むことは難しいですが、GPUやTeslaのような強力な計算能力を持ちながらもコンパクトな並列コンピューティングモジュールであればそれも可能です。
연구소 : //www.atre.t.u-tokyo.ac.jp/en/
조교수 Hongen Liao : //bmpe.t.u-tokyo.ac.jp/~liao/
▼연구소 소개
ATRE Lab, Dept. of 기계정보공학, 정보과학기술대학원, 동경대학교.
Dohi 교수와 연구진들은 선구적인 컴퓨터 연계 수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는 의학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가장 선진적인 연구소 중 하나이다.
3D 입체영상 기술은 마이크로 수술 로봇, 쐐기 모양의 프리즘 내시경, 수술용 입체영상 합성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최신의 장비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